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

카테고리 없음

by nursingNR 2023. 5. 7. 22:15

본문

MRAB, 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 감염병 분류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은 유행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감시활동이 필요한 지정감염병(표본감시감염병)입니다.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원인 병원체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원인 병원체는 carbapenem계, aminoglycoside계, fluoroquinolones계 항균제에 모두 내성을 나타내는A.baumannii입니다.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진단 검사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임상 검체(비강, 인후, 창상, 직장 도말 배양검사)에서 원인 병인체를 분리(isolation), 동정(identification)합니다.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감염경로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이 감염되는 경로로는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 접촉이나 오염된 물체를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많은데, 주로 의료기관 감염이 많으며, 환자 또는 의료진의 손, 때로는 의료 기구에 의해 전파됩니다.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 치료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치료를 위해 콜리스틴(colistin)과 타이제사이클린(tigecyciline)계열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감염관리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 감염관리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환자 격리, 접촉 주의를 준수합니다.

-침습적 시술 시 무균술을 적용합니다.

-손 위생

환자(병원체 보유자 포함) 접촉 전, 후, 침습적 시술 시행 전, 환자의 체액, 분비물, 배설물 및 의료물품이나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 반드시 실시합니다.

분비물을 다룰 때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고, 장갑을 벗은 후에는 물과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씻거나 손소독제를 사용하여 손 마찰 실시합니다.

-보호구 착용

환자와의 접촉 범위 및 시술행위의 종류에 따라 장갑, 마스크, 가운 등을 착용합니다.

MRAB 환자의 방을 나오기 전 장갑과 가운 탈의합니다.

-기구 및 물품 관리

사용한 기구는 재사용 전 소독 또는 멸균 철저히 시행합니다.

의료용품은 가능한 환자 전용으로 사용하며, 공동사용이 불가피한 경우 철저한 소독 후 사용하도록 합니다.

-환경 관리

환자의 주변 환경 표면에 대해 정기적으로 소독하며, 눈에 띄는 오염이 발생한 경우 즉시 소독합니다.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 해제기준

MRAB(Multdrug-resi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마우마니균 감염증)격리 해제를 위해서는 주1회 이상(3일-일주일) 3회 연속 음성이 나오거나, 퇴원일로부터 90일이 경과해야 합니다.(자동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