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은 유행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감시활동이 필요한 지정감염병(표본감시감염병)입니다.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진단을 위해서는 임상 검체(주로 비강 도말, 인후 흡인, 항문 주위 검체 배양검사)에서 메치실린 내성균을 분리(isolation), 동정(identification)합니다.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이 감염되는 경로로는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 접촉이나 오염된 물체를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많은데, 주로 의료기관 감염이 많으며, 환자 또는 의료진의 손, 때로는 의료 기구에 의해 전파됩니다.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치료를 위해서 반코마이신(vancomycin)과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계열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환자 격리, 접촉 주의를 준수합니다.
-침습적 시술 시 무균술을 적용합니다.
-손 위생
환자(병원체 보유자 포함) 접촉 전, 후, 침습적 시술 시행 전, 환자의 체액, 분비물, 배설물 및 의료물품이나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 반드시 실시합니다.
분비물을 다룰 때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고, 장갑을 벗은 후에는 물과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씻거나 손소독제를 사용하여 손 마찰 실시합니다.
-보호구 착용
환자와의 접촉 범위 및 시술행위의 종류에 따라 장갑, 마스크, 가운 등을 착용합니다.
MRSA 환자의 방을 나오기 전 장갑과 가운 탈의합니다.
-기구 및 물품 관리
사용한 기구는 재사용 전 소독 또는 멸균 철저히 시행합니다.
의료용품은 가능한 환자 전용으로 사용하며, 공동사용이 불가피한 경우 철저한 소독 후 사용하도록 합니다.
-환경 관리
환자의 주변 환경 표면에 대해 정기적으로 소독하며, 눈에 띄는 오염이 발생한 경우 즉시 소독합니다.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해제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 1회 이상(3일-1주일 간격) 3회 연속 음성이 나왔을 경우, 또는 퇴원일로부터 90일 경과된 경우입니다(자동해제)
댓글 영역